내 이야기/공부2013. 1. 18. 15:12

RCS (Rich Communication Service) 에 대해서.


대표(?)의 오더로 인하여 알아보게 된 RCS.


응? 머지? 했던 내용이지만, 찾아보니 금방 나오더라..


간단히 말해서...


용법 그대로 하면, 풍족한(?) 통신 서비스 가 되지만,


사실은, 전 통합적인 통신 서비스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예로, 


카카오톡(KaKao Talk), 이나 라인(Line) 등의 모바일 메신저의 경우,


일대일, 다자간 메시징 서비스 외에도, 사진, 음성 통화, 동영상, 프로그램 링크 등의 멀티미디어의 지원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 메신저들은 모두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되므로,


메신저들끼리의 호환은 저장된 주소록 데이터 정도밖에 지원되지 않는다.


즉, 카카오톡 과 라인 간 메시지 교환같은 것은 아예 성립되지 않는다는 이야기 !!



반면에, RCS (Rich Communication Suite) 의 경우,


Application에서 통화, 문자 메세지 (SMS), 채팅, 파일전송, 데이터공유 등의 모든 기능이 통합되는


차세대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라 할 수 있다.


특히, LTE 기술이 나오면서, VoLTE (VoIP를 넘어 LTE 를 통한 음성 통화 기술)기능을 통해 더욱 높은 가치성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특징이라면,


1. Rich Call : 통화를 하면서 동영상, 사진 공유 및 채팅등의 멀티 태스킹

2. Rich Address Book : 상대방의 실시간 상태 정보 확인 가능

3. Rich Messaging : 주소록에서 바로 연계되어 일대일, 그룹 채팅 및 파일전송 가능


을 꼽을 수 있다.


게다가, 비교적 최신에 화두가 되고 있으며, 세계이동통신협회 (GSMA)가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고,


유럽등지에서는 이미 상용화 단계라고 한다.


얼마 전, 뉴스에서 소개되었던 조인(Joyn) 이라는 메신저가 바로 그것.


얼핏 보기에는 기존의 카카오톡이나 라인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와 별 차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통합" 의 의미에서 보면 좋은 방향이 아닐까 싶다.


물론, 유료화 정책이 끼어있어서 조금... 어떻게 받아들여 질지는 모르겠지만...



이 RCS 의 경우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이제 조금씩 공부해 나가야 하는 것들...


SIP -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PM - Converged IP Messaging


일단 지금의 개념으로 그림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내가 이해한 기술 관계도는 위와 같지만...


뭐, 더 공부해보고 알아봐야겠다.





Posted by AsCarion